AWS 기술 블로그
Category: Compute
Amazon Braket 콘솔 소개 및 Amazon Braket에서 양자 회로를 실행하는 방법 -2
지난 블로그에서는 Amazon Braket 콘솔 소개 및 콘솔에서 특정 양자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지난 블로그 보기 Amazon Braket 콘솔 소개 및 Amazon Braket에서 양자 회로를 실행하는 방법 -1 이번 글에서는 AWS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양자 컴퓨팅 서비스인 Amazon Braket을 활용해, 주피터 노트북 환경을 구축하고 로컬 시뮬레이터로 양자 회로를 직접 실행하는 과정을 […]
Amazon EKS Add-on, Falco와 함께 Kubernetes 런타임 보안 확보하기
최근 사이버 공격과 내부 위협이 점점 정교해지면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의 보안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쿠버네티스 기반 인프라에서는 컨테이너 및 워크로드의 실시간 행위까지 감시하는 ‘런타임 보안’이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단순한 취약점 진단이나 이미지 스캔만으로는 동적인 위협을 모두 차단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Falco는 커널 이벤트와 다양한 시스템 활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비정상 행위나 […]
AI로 혁신하는 70년 언론사: 한국일보의 AWS 기반 인물 사진 자동 분류 및 AI 검색 시스템 구축 사례
Overview 한국일보가 AWS 기반 AI 기술을 활용해 언론사의 오랜 과제였던 인물 사진 자동 분류 시스템 ‘FACT’를 구축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Amazon Rekognition의 얼굴 인식 기술과 Amazon Bedrock의 생성형 AI를 결합해 매일 수백 장의 보도 사진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웃고 있는 지드래곤”, “넘어진 손흥민”과 같은 자연어 기반 맥락 검색을 가능하게 합니다. 기존 수작업 태깅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자들의 업무 […]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자동차 소프트웨어 요구사항을 위한 테스트 케이스 생성하기
이 글은 AWS for Industries 블로그에 게시된 글(Using generative AI to create test cases for software requirements)를 한국어로 번역 및 편집하였습니다. 오늘날 자동차 산업에서 소프트웨어 시스템 요구사항 관리는 시스템의 복잡성 증가와 중요성으로 인해 상당한 도전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사항에는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기능적 요구사항과, 성능, 보안, 신뢰성과 같은 시스템의 운영 기준을 설정하는 […]
삼성계정 서비스, 대규모 트래픽 속 무 중단 클라우드 인프라 업그레이드의 비결
이 글은 삼성전자의 기술블로그(Samsung Tech Blog)에 기재된 원문을 인용하여 작성 하였습니다. 대 규모 서비스의 무중단 운영을 위한 고민이 녹아있는 AWS 사용사례를 AWS 한국 기술 블로그를 통해 게시되도록 지원해 주신 삼성전자 김제민 프로님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시작하며, 삼성의 모든 서비스와 온/오프라인 스토어까지, 삼성 유니버스를 하나로 묶어주는 글로벌 계정 서비스인 삼성계정은 대규모 트래픽을 안전하게,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서비스 […]
AWS Network Firewall 모범 사례 – 다중 VPC Endpoint/TGW 통합
AWS 에서는 지난 2025년 5월 28일과 6월 16일에 AWS Network Firewall 의 다중 VPC Endpoint 지원 기능과 AWS Transit Gateway(TGW)와 AWS Network Firewall(ANF)의 네이티브 통합 기능을 발표하였습니다. AWS Network Firewall은 내부적으로 AWS Gateway LoadBalancer(이하 “GWLB”) 와 연계하여 동작하게 되는데, 지금까지는 AWS Network Firewall 을 생성할 때 VPC 별로 배포되는 AWS Gateway Load Balancer Endpoint 에 따라 […]
생성형AI를 통한 데브옵스 강화 – Part 1.소프트웨어 딜리버리 가속화
이 게시글은 생성형 AI를 통한 데브옵스 강화 시리즈의 첫 번째 게시글 입니다. DevOps Research and Assessment(DORA)에서 제시한 데브옵스 성숙도 측정 4가지 핵심 지표는 처리량 지표(변경 적용 시간, 배포 빈도)와 안정성 지표(변경 실패율, 장애 복구 시간)로 구분됩니다. Part 1에서는 처리량 지표 개선을 위한 소프트웨어 딜리버리 가속화에 초점을 맞추며, Part 2에서는 안정성 지표 향상을 위한 운영 안정성 […]
Amazon Bedrock을 활용한 (주)레듀텍의 독서 교육 콘텐츠 생성 자동화 시스템 구축
에듀테크 산업에서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특히 독서 교육 분야에서는 다양한 도서에 대한 맞춤형 문제와 활동을 개발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됩니다. (주)레듀텍(Redutec, Inc.)은 한글을 읽을 수 있는 유아부터 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독서교육 서비스 리딩오션을 제공하는 에듀테크 기업입니다. 본 글에서는 레듀텍이 Amazon Bedrock을 활용하여 독서 교육 콘텐츠 생성 과정을 자동화하고 운영 […]
엔터프라이즈 Multi-EKS 마스터하기: GitOps 기반 Blue-Green 무중단 운영 전략
1. 왜 Multi EKS인가? 엔터프라이즈 환경의 도전과제 현대 엔터프라이즈 기업들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확산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도입으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Amazon EKS는 Kubernetes의 복잡한 관리 부담을 AWS가 대신 처리해주어 기업들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이로 인해 많은 엔터프라이즈 기업들이 Amazon EKS을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들은 단일 EKS 클러스터가 아닌 여러 […]
양자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 Part 4: 양자 컴퓨터가 빠르다는 의미, 양자 회로, 양자 연산의 원리
이번 블로그는 ‘양자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시리즈의 네 번째 글로, 양자 컴퓨터의 속도와 양자 회로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봅니다. 시리즈 블로그 보기 양자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 Part 1: 양자 컴퓨터의 개념, 등장 배경, 분류 체계 등 양자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 Part 2: 양자 컴퓨터가 적합한 문제들, 활약이 기대되는 분야, 양자 컴퓨터 생태계 양자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 Par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