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기술 블로그

알아두면 쓸모 있는 Aurora MySQL Bluegreen 배포 스크립트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와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 환경에서의 Database 관리의 부담 증가 Aurora MySQL과 같은 완전관리형 RDS 서비스는 DBA의 많은 부담을 덜어준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데이터가 예측할 수 없는 사이즈로 폭증하고, 많은 서비스들이 마이크로서비스로 현대화되면서 오히려 이전보다 더 많은 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한 명의 DBA가 멀티 어카운트의 멀티 리전에 흩어져있는 수십, 수백 […]

Apache Iceberg Table Management작업에서 발생하기 쉬운 Amazon S3 이슈 분석과 해결 방안

AWS에서 Apache Iceberg 테이블을 운영하며 테이블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Apache Spark 혹은 Amazon EMR, AWS Glue를 통해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쿼리 성능 및 스토리지 사용량에 대한 최적화 혹은 Snapshot 관리를 위하여  expire_snapshots, remove_orphan_files , rewrite_manifests와 같은 Iceberg table의 metadata를 관리하기 위한 Spark procedure들을 사용하게 됩니다. 실제 고객 사례에서 Table management를 위한 Procedure 사용 중 몇가지 이슈를 […]

pgstattuple extension을 사용한 PostgreSQL 성능 향상

이 글은 AWS Database Blog에 게시된 Improve PostgreSQL performance using the pgstattuple extension by Vivek Singh, Kiran Singh, and Sagar Patel 을 한국어 번역 및 편집하였습니다. 기업이 계속해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함에 따라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PostgreSQL은 복잡한 데이터 […]

Amazon Q Developer 를 이용한 엑심베이의 JDK 자동화 업그레이드 사례

엑심베이(Eximbay)는 해외결제 시장점유율 1위의 PG(Payment Gateway) 기업으로, 국경 없는 결제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혁신적인 크로스보더 결제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결제 서비스, 오프라인 결제서비스, 외국인 대상 앱 서비스를 비롯하여 호텔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요 엑심베이의 G-Billing(호텔 결제 솔루션)은 호텔에 특화된 결제 솔루션으로, Oracle PMS(Property Management System)와 결제 단말기를 연동하는 통합 결제 […]

Nexthink가 Amazon Managed Service for Apache Flink를 사용하여 실시간 알림을 구축한 방법

이 게시물은 Nexthink의 Nikos Tragaras와 Raphaël Afanyan이 공동 작성했습니다.  이 글은 AWS Big Data Blog에 게시된  ‘How Nexthink built real-time alerts with Amazon Managed Service for Apache Flink’ 을 한국어 번역 및 편집하였습니다.  이 게시물에서는 Nexthink가 Amazon Managed Service for Apache Flink을 사용하여 새로운 실시간 알림 시스템을 구현한 과정을 설명합니다. 우리는 아키텍처, 주요 기술 선택의 […]

양자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 Part 3: 큐비트, 양자 중첩, 얽힘 및 측정, 고속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

본 블로그 시리즈의 앞선 두 편에서는 양자 컴퓨터의 필요성과 산업별 적용 사례를 다루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를 토대로, 양자 컴퓨팅의 핵심 개념과 작동 원리를 보다 심층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특히, 양자 컴퓨팅의 근간을 이루는 큐비트(qubit)의 정의와 수학적 표현, 양자 중첩(superposition) 및 얽힘(entanglement)과 같은 고유한 양자 현상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양자 정보의 표현 방식과, 고전 […]

Amazon VPC에서 안전한 DNS 요청 설계하기

들어가며 AWS의 Amazon VPC(이하 VPC)에서 DNS 요청은 기본적으로 Amazon Route 53 Resolver(이하 Route 53 Resolver)를 사용합니다. Private DNS 또는 VPC Endpoint 등 AWS의 일부 서비스는 Route 53 Resolver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Route 53 Resolver는 VPC CIDR에 +2를 한 주소(예: 10.0.0.0/16 네트워크의 경우 10.0.0.2)에서 실행되며, VPC 내에서 DNS 쿼리를 처리합니다. EC2 인스턴스의 네임서버 설정을 통해 확인할 수 […]

기업간 전자 문서 교환을 위한 AWS상에서의 EDI처리 자동화

EDI(전자 데이터 교환)는 기업 간에 비즈니스 문서와 정보를 표준화된 전자 형식으로 교환하는 시스템으로, 국내외에서도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면서, 온라인 전자상거래, 주문 관리, ERP 등 다양한 시스템과의 연계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산업에서 내부 프로세스, 비용, 보안, 인력 부담, 그리고 기술적 문제등의 이유로 도입이 더딘 상태입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미국 건강보험품질위원회(CAQH)에 따르면 매년 보험금 청구의 약 10%, […]

당근페이의 Amazon Bedrock 기반 Text-to-SQL로 완성하는 데이터 혁신, Part 2: 데이터 수집과 관리, 향후 계획

지난 1부에서는 전반적인 아키텍처와 동작 방식에 대해서 소개했습니다. 이번 2부에서는 브로쿼리 답변 정확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메타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과 향후 계획에 대해 다룹니다. 1부 다시보기 : Part 1: 브로쿼리 개요와 아키텍처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 구조> 1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충분하고 적절한 컨텍스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가 필수적입니다. 브로쿼리가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크게 […]

당근페이의 Amazon Bedrock 기반 Text-to-SQL로 완성하는 데이터 혁신, Part 1: 브로쿼리 개요와 아키텍처

이 블로그는 2025 Seoul Summit에서 “Amazon Bedrock 기반Text-to-SQL로 완성하는 데이터 혁신:당근페이의 핀테크 성공 전략”의 주제로도 발표되었으며, 세션에서 다루지 못했던 세부 내용에 대해서도 추가로 소개합니다. 블로그는 당근페이 내부 Text-to-SQL 챗봇인 브로쿼리(Broquery)에 대해 총 2부에 걸쳐 소개하고자 합니다. 1부에서는 브로쿼리의 기획 배경과 전반적인 아키텍처를 소개합니다. 2부에서는 Text-to-SQL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요소인 ‘컨텍스트’, 즉 메타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