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기술 블로그
Category: Amazon DynamoDB
AMOREPACIFIC이 구현한 AWS기반의 DevOps 포털 구축사례: ASAP프로젝트
AMOREPACIFIC은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뷰티 기업으로, 고객의 삶 속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실현하며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화장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고객 개개인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실현할 수 있도록 맞춤형 솔루션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AMOREPACIFIC의 DevOps팀은 디지털 혁신의 핵심 조직으로서, 기업의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당근페이의 Amazon Bedrock 기반 Text-to-SQL로 완성하는 데이터 혁신, Part 2: 데이터 수집과 관리, 향후 계획
지난 1부에서는 전반적인 아키텍처와 동작 방식에 대해서 소개했습니다. 이번 2부에서는 브로쿼리 답변 정확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메타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과 향후 계획에 대해 다룹니다. 1부 다시보기 : Part 1: 브로쿼리 개요와 아키텍처 데이터 수집 <데이터 수집 구조> 1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충분하고 적절한 컨텍스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가 필수적입니다. 브로쿼리가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크게 […]
당근페이의 Amazon Bedrock 기반 Text-to-SQL로 완성하는 데이터 혁신, Part 1: 브로쿼리 개요와 아키텍처
이 블로그는 2025 Seoul Summit에서 “Amazon Bedrock 기반Text-to-SQL로 완성하는 데이터 혁신:당근페이의 핀테크 성공 전략”의 주제로도 발표되었으며, 세션에서 다루지 못했던 세부 내용에 대해서도 추가로 소개합니다. 블로그는 당근페이 내부 Text-to-SQL 챗봇인 브로쿼리(Broquery)에 대해 총 2부에 걸쳐 소개하고자 합니다. 1부에서는 브로쿼리의 기획 배경과 전반적인 아키텍처를 소개합니다. 2부에서는 Text-to-SQL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요소인 ‘컨텍스트’, 즉 메타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을 […]
알리는사람들의 Amazon Data Firehose로 Amazon DynamoDB를 Amazon S3 tables로 실시간 복제하기
개요 알리는사람들은 다양한 메시징 채널을 통합하여 기업의 커뮤니케이션을 자동화하고, 고객에게 정확한 메시지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돕는 테크 스타트업입니다. 인증, 마케팅, 알림 등 다양한 메시지 유형을 유연하게 다룰 수 있는 인프라를 바탕으로, 수많은 기업이 일상적인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센드온(Sendon)은 알리는사람들이 개발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메시징 플랫폼으로, 대용량 메시지 전송에 최적화된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
더블유젯소프트(WZSOFT)의 미음 챗봇 도입기: AWS Bedrock 기반 AI 챗봇으로 뷰티샵 상담 자동화 하기
들어가며 더블유젯소프트(WZSOFT)는 뷰티샵 운영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SaaS 플랫폼 미음을 통해, 예약 관리, 고객 응대, 매출 분석 등 운영에 필요한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공합니다. 미음은 디자이너가 시술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관리 업무를 자동화하고, 매장 운영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뷰티샵의 고객 상담은 운영 시간, 시술 가격, 예약 변경 등 정형화된 문의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
디프로모션의 DynamoDB, zero-ETL, ElastiCache Serverless 도입기
서비스의 간단한 소개 및 특징 브랜드의 중요한 순간을 함께 만들어가는 파트너. 디프로모션은 누구나 쉽고 빠르게 디지털 캠페인과 프로모션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입니다. 직관적인 온라인 디자인 에디터를 통해 룰렛, 스크래치, 틀린그림찾기, 퀴즈, 래플 등 다양한 유형의 이벤트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 당첨자 선정과 리워드 지급까지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하여 브랜드가 목표로 하는 마케팅 결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
알리는사람들의 서버리스 기반 현대화 여정 – DynamoDB 최적화 사례
알리는사람들 소개 알리는사람들은 기업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돕는 메시징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입니다. 다양한 메시징 채널을 통합하여 고객에게 메시지가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현재 다수의 기업이 알리는사람들의 솔루션을 활용해 고객 알림, 인증, 마케팅 메시지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Sendon 서비스 소개 센드온(Sendon)은 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메시징 서비스입니다. 개발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강력한 API와 […]
Amazon GameLift와 DynamoDB를 중심으로 서버리스 서비스를 활용한 멀티플레이 게임 개발/최적화 사례
라온엔터테인먼트(http://www.rhaon.co.kr/)는 1998년에 설립되어, 2005년 테일즈 런너를 국내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14년 전설의 도둑왕 ,2017년 테런R 국내출시를 비롯하여 2020년 캐쥬얼 게임인 고스트워 캐주얼 배틀아레나 를 출시한 중견기업입니다. 특히 고스트워는 실시간 모바일 멀티플레이 캐주얼 전략 모바일 게임으로 앱다운로드 횟수 200만이상, 일별 최대접속자 20만이상, 월 최대접속자 79만으로, 2020년부터 현재까지도 서비스 중인 인기 게임입니다. 라온엔터테인먼트의 고스트워 게임 아키텍쳐는 서버리스로 […]
Amazon Q Developer를 활용한 Amazon DynamoDB 개발 가속화
본 게시물은 AWS Database Blog에 게시된 “Faster development with Amazon DynamoDB and Amazon Q Developer” by Chris Gillespie 을 한국어로 번역한 글입니다. Amazon Q Developer는 AWS에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Gen AI) 도우미입니다. 통합 개발 환경(IDE)에서 사용될 때, Amazon Q는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을 제공합니다. Amazon Q는 코드에 대해 대화하고, 인라인 코드 완성을 […]
삼성 클라우드의 Amazon DynamoDB 비용 최적화 여정
이 블로그 포스트는 삼성전자의 김정훈님과 함께 작성되었습니다. 삼성 클라우드는 전세계 갤럭시 스마트폰을 포함한 삼성의 모든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사용자 데이터의 백업/복원 및 동기화, 공유, 기기 인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멀티 디바이스 간의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 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삼성 클라우드가 2015년 Apache Cassandra에서 Amazon DynamoDB로 마이그레이션 이후 지속적으로 DynamoDB의 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