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Web Services 한국 블로그

AWS Korea

Author: AWS Korea

AWS Korea 블로그팀은 최신 AWS 뉴스 및 신규 출시 그리고 한국 고객 소식을 빠르게 알려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AWS 영국 런던 리전 오픈!

지난 주에 15번째 캐나다 신규 리전을 오픈 한 이후, 오늘 16번째 리전도 공개합니다. 신규 리전은 영국 런던에 소재하며, 유럽에서는 3번째 리전입니다. 이제 영국의 고객들도 더 빠르고 간편하게 AWS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리전 세부 정보 신규 런던 리전은 아래와 같은 AWS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mazon CloudWatch, Amazon DynamoDB, Amazon ECS, Amazon ElastiCache, Amazon Elastic Block […]

Amazon Redshift 쿼리 캐싱을 위해 pgpool 및 Amazon ElastiCache 사용

최근 국내의 많은 고객 분들이 Amazon Redshift 도입을 고려하고 계시거나, 또는 이미 도입하여 사용하고 계십니다. OLTP 뿐만 아니라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에서도 쿼리 캐싱은 전체적인 사용자 체감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입니다. 쿼리 캐싱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pgpool 및 Amazon ElastiCache  사용에 대한 좋은 블로그 글이 있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원문은 Using pgpool and […]

Amazon Redshift 를 위한 10가지 성능 튜닝 기법

최근 국내의 많은 고객 분들이 Amazon Redshift 도입을 고려하고 계시거나, 또는 이미 도입하여 사용하고 계십니다. 도입 전, PoC(Proof of Concept) 등의 과정을 통해서 기존 업무와의 호환성 또는 원하는 성능에 대한 평가 등을 하신 후에 사용하고 계시겠지만, 제목과 같이 Redshift 의 성능 튜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다시 한번 살펴보시라는 의미에서, 좋은 블로그 포스트를 번역하여 […]

신규 AWS Canada (Central) 리전 공개!

AWS 글로벌 인프라 성장에 새로운 이정표를 다시 한번 발표합니다. 신규 Canada (Central)리전이 오늘 공개되어 바로 이용하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캐나다에 있는 AWS 고객 뿐만 아니라 미국 북부 지역 고객들에게 더 빠르게 AWS 인프라에 접근하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캐나다 리전 주요 서비스 목록 신규 Canada (Central) 리전 오픈과 동시에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EC2) 및 관련 […]

Amazon EC2 인스턴스 및 VPC IPv6 지원 시작

모바일 앱, 커넥티드 디바이스 및 IoT 분야에서 인터넷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업계 전반에 IPv6 전환이 촉발되었습니다. 2010 년에서 부터 미국 정부 기관은 공개 서버 및 서비스를 가능한 빨리 IPv6로 옮기고 있습니다. 128 비트의 주소 공간을 갖춘 IPv6는 성장 여지가 충분하며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및 연결 확장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Amazon EC2 및 VPC IPv6 지원 올해 초 […]

AWS Step Functions– 시각적 워크플로 기반 분산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신규 서비스

오늘 날 다양한 웹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를 연결하여 복잡한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보다 쉽게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대부분 개발자는 복잡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구현하든 간단한 사진 업로드를 위한 처리를 하던지 가급적 관리 작업 보다는 코드 개발에 집중하고, 익숙한 개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서 견고하고 확장성 높은 비용 효율적인 안정적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AWS Step […]

AWS Lambda@Edge – 미리 보기 출시

지난 주에 한 AWS 고객으로 부터 Hacker News에 올린 댓글을 통해 한 통의 메일을 받았습니다. 그는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SPA)을 빠른 속도의 웹 페이지 배포가 가능한 Amazon CloudFront를 통해 Amazon S3에 정적 웹 호스팅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그 페이지에서 AWS Elastic Beanstalk에서 운용중인 자체 API를 통해 개별 사용자를 위한 동적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분이 […]

Blox – Amazon EC2 Container Service를 위한 오픈 소스 스케줄러

2014년에 처음 출시한 Amazon ECS은 Docker 기반 애플리케이션 빌드와 실행 및 확장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서비스로서, 당시 세 가지 콘테이너 스케줄링 선택 사항 (자동, 수동, 사용자 정의) 방식을 소개하고, 어떻게 스케줄러가 각 태스크를 인스턴스에 처리하는지 설명하였습니다 사용자 정의 스케줄링은 클러스터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ListContainerInstances 및 DescribeContainerInstances 함수를 계속 호출해야 합니다. 올해 초에 이러한 과정을 […]

AWS 개인 상태 대시 보드 – 신규 기능 제공

2008년 AWS는 서비스 상태 대시 보드를 시작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AWS 클라우드는 비교적 새로운 서비스였기 때문에 이 서비스는 고객이 각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있는 제일 좋은 방법이었습니다 (해당 블로그 게시물의 간단한 스크린 샷을 현재 대시 보드와 비교해서 보시면, 8년 만에 얼마나 기능이 개선되었는지 모실 수 있습니다.) 사실 현재 대시 보드는 각 AWS 서비스의 전체 상태를 표시하는 […]

AWS Batch – 배치(Batch) 컴퓨팅 관리 서비스 출시

제가 대학에 들어갔던 1978년에 Montgomery College 전산학과에는 IBM 370/168라는 메임 프레임이 있었고, 저는 카드 천공기를 통해 Job Control Language (JCL) 문법을 작성하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 뒤로 FORTRAN, COBOL, PL/I 컴파일러가 나왔죠.) 작업한 카드 덱을 제출하기 위해 각 작업 식별자와 교환하여, IT 부서 운영자에게 건네 주면 인쇄된 결과와 카드 덱을 받으러 몇 시간 후에 다시 와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