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Web Services 한국 블로그
Category: Database
Amazon DocumentDB 신규 출시 – MongoDB 호환 가능한 빠르고 확장성 높은 고가용성 문서 데이터베이스
AWS 데이터베이스 페이지를 보면, AWS에서는 고객들의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각각 고유한 용도의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즉,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관계형(RDB), 키-값(Key-Value), 인메모리(In-memory), 그래프(Graphe), 시계열(Time series), 원장(Ledger) 데이터베이스 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멋지고 강력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Amazon DocumentDB(MongoDB 호환성 포함) 소개 오늘 AWS에서는 빠르고 확장 가능하면서 고가용성을 제공하는 문서 데이터베이스로서 기존의 […]
Amazon Linux 2 및 Ubuntu 기반 SQL Server 2017 구성 방법
Microsoft SQL Server를 AWS에 배포하는 경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가용성, 안정성 및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Amazon은 여러 SQL Server 버전, 광범위한 컴퓨팅 옵션 및 수많은 라이선스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사용량 기반 지불(pay-as-you-go) 모델을 선택 후 AWS 라이선스 포함 옵션을 사용하거나 Amazon EC2에서 BYOL(Bring Your Own […]
클라우드로 데이터 베이스 이전을 시작할 때 알아두어야 할 점
이제 AWS 클라우드로 여러분의 데이터 베이스를 이전하기로 하셨다면 축하드립니다. 클라우드로 전환하도록 설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결정을 하신 것입니다. 이제 새로운 환경, 플랫폼 또는 기술로 애플리케이션을 옮기는 소위 애플리케이션 현대화(Modernizing Application)를 진행하게 됩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재미로 이리저리 옮기는 사람은 없을 테니까요.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은 평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환(엔진을 변경하는 경우), 스크립트 변환,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기능 테스트 등 여러 단계로 […]
Amazon DynamoDB On-Demand 기능 출시 (서울 리전 포함)
Amazon DynamoDB는 Amazon이 2007년에 발행한 Dynamo 백서에 실린 원칙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지난 몇 년 동안 AWS 고객의 데이터베이스 사용 방식을 더욱 단순화하는 새로운 기능이 많이 도입되었습니다. 유휴 상태의 암호화, 시점 복구, 인 메모리 캐싱, 오토 스케일링, 99.99%의 가동 시간 SLA(서비스 수준 계약) 등의 기능을 갖추었고, 멀티 리전 글로벌 테이블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
Amazon DynamoDB 트랜잭션 기능 출시 (서울 리전 포함) 및 활용 방법
오랫동안 고객은 마이크로서비스 및 모바일 백엔드 구축에서 게임 및 IoT 솔루션 구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용 사례에서 Amazon DynamoDB를 사용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Capital One은 메인프레임 트랜잭션을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이전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대기 시간을 줄이는 데 DynamoDB를 사용합니다. Tinder는 가동을 중단하지 않고도 사용자 데이터를 DynamoDB로 마이그레이션하여 글로벌 사용자 기반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확장성을 확보하였습니다. 개발자들은 때론 하나 […]
Aurora Serverless, 서울 리전 출시
Aurora Serverless는 Amazon Aurora(MySQL 호환 에디션)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자동 확장 가능한 서비스로서, 이번에 서울 리전에도 출시되었습니다. 기존에 DB 인스턴스를 미리 구성하는데 반해, Aurora Serverless를 사용하면 DB 인스턴스를 관리하지 않고도 개발자 관점에서 서버 없이(Serverless) 자동으로 시작되고 애플리케이션 사용량에 맞게 용량을 조정하며 사용하지 않은 때는 종료됩니다. 따라서, 간헐적인 대용량 트래픽이 오거나 예측하기 힘든 워크로드에 맞는 DB 선택 […]
Amazon ElastiCache의 Redis 5.0 버전 출시
올해 초 Amazon ElastiCache의 Redis 4.0 버전 출시 소식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 글에서 Redis 클러스터용 ElastiCache가 어떻게 메모리를 테라바이트 수준으로 확장하여 초당 수백만 회의 읽기 및 쓰기를 지원하는지 설명해 드렸습니다. 그 이후에도 Redis용 Amazon ElastiCache에는 다음과 같은 개선 사항이 발표되었습니다. 읽기 사본 조정 – Redis Cluster에 읽기 사본 노드를 추가 또는 제거하는 기능을 지원하며 […]
Trimble의 오라클 DB 마이그레이션 성공기 – AWS Schema Conversion Tool 활용 사례
최근에 Trimble사의 FSM(Field Service Management) 사업부 인프라 운영팀은 비공개로 호스팅 되는 SaaS 제품을 Amazon Web Services(AWS)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한 적극적인 활동에 착수했습니다. 이 글은 Trimble Inc.의 FSM 인프라 운영 담당 이사인 Todd Hofert의 기고 글로서 어떻게 AWS로 마이그레이션 했는지 그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것은 Youtube 고객 사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rimble FSM 사업부는 하드웨어 […]
Amazon RDS for SQL Server DB 인스턴스를 기존 Active Directory 도메인에 통합하기
지난 해 부터 AWS는 SQL Server용 Amazon RDS에 대한 Windows 인증 지원을 시작했습니다. 이 기능은 꽤 많은 고객의 사랑을 받았으며,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중앙 집중식 사용자 관리 패턴(Microsoft Active Directory 활용)을 사용하여 Microsoft SQL Server 기반 워크로드를 Amazon RDS로 배포할 수 있습니다. SQL Server용 Amazon RDS에서는 AWS Directory Service를 통해 제공되는 관리형 Active Directory […]
Oracle 데이터베이스를 AWS 기반 PostgreSQL로 마이그레이션 하기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Oracle 데이터베이스를 AWS 기반의 PostgreSQL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스키마 변환과 데이터 복제입니다. AWS Schema Conversion Tool(AWS SCT) 및 AWS Database Migration Service(AWS DMS)를 사용하여 이러한 두 가지 요소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SCT 와 DMS를 사용하기 전,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예비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마이그레이션을 더 […]